본문 바로가기

반도체 물성

고체의 결정 구조

<원소 주기율표와 반도체 재료>

  • 원소 반도체

한가지 원소로 구성된 반도체 (4족 원소)

  • 화합물 반도체

두가지 이상의 원소로 구성된 반도체 (3-5족, 2-6족)

<원자의 배열에 따른 고체의 3가지 형태>

결정 종류 단결정 다결정 비정질
결정 형태 - 전체 부피에서 원자들이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
- 완전한 결정 상태
- 다른 규칙을 갖는 단결정 영역들이 모여 전체 부피를 구성
- 단결정 영역을  grain과 grain boundary로 구성
- 결정성이 없는 고체
전기적 특성 높음 중간
(grain boundary에서 전기적 특성 저하)
낮음
균일성 높음 낮음 높음
(원자수준의 무질서로 인해 소자 크기에서는 균일)
제작 공정 성장 증착 증착
면적 당 가격 높음 중간 낮음
소자 당 가격 낮음 높음 중간
응용 CPU, 메모리 등의 고성능 IC-chip 저면적, 고성능 디스플레이 (모바일) 대면적 디스플레이 (TV, 모니터)

 

<결정과 격자의 기초>

  • 단결정

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고체

  • 격자

결정에서 원자들이 규칙적인 배열된 구조

  • 격자점

격자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들의 점으로 나타낸 것

  • 격자 상수

격자점 반복 배열의 간격

  • 단위셀

결정을 구성하는 작은 반복 단위

  • 기본셀

가장 작은 크기의 단위셀

결정을 구성하는 최소 반복 단위

 

<기본 격자 구조>

1) 단순 입방 (SC)

2) 체심입방 (BCC)

3) 면심입방 (FCC)

 

<반도체 소자와 결정면>

  • 반도체 소자에서 결정면 정의의 중요성

- 반도체 소자 내 다양한 계면이 존재

=> 반도체/반도체 계면, 금속/반도체 계면, 절연층/반도체 계면

- 반도체 계면 또는 표면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달라짐

- 반도체 표면 특성에 따라 성장, 식각 등의 공정 특성이 달라짐

 

<결정면과 밀러 지수>

  • 결정면의 정의 방법

1) a,b,c 축과 결정면의 교차점을 단위벡터의 정수배로 정의 => p,q,s

2) p,q,s의 역수에 최소공배수를 곱하여 정수로 변환 => h,k,l (밀러지수)

3) 소괄호 기호를 사용해 "(hkl)면"이라고 표현

 

<입방 결정의 대표 결정면>

cf1) 역수인 밀러지수를 사용하여 결정면을 정의하는 이유 : 무한대의 사용을 피할 수 있음

cf2) 만약 원점을 결정면 상에 놓으면 밀러 지수가 무한대가 될 수 있으나, 원점을 이동하여 유한한 정수인 밀러 지수로 정의 가능

 

<반도체의 결정 방향>

  • 반도체 결정 방향의 정의

[hkl]면

  • 반도체 소자에서 결정 방향 정의의 필요성

반도체의 결정에 따라 공정 특성 또는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달라짐

 

<diamond 구조 : 원소 반도체의 결정 구조>

- 단일 원소로 구성

- FCC구조 + x, y, z축으로 1/4씩 이동한 FCC 구조

 

<Zinc blende 구조 :화합물 반도체의 결정 구조>

- 2개의 서로 다른 원소로 구성

- FCC구조 + x, y, z축으로 1/4씩 이동한 FCC 구조

 

<원자결합>

  • 원자 결합

- 원자들이 집합을 이룰 때 (ex. 가열되어 녹은 후 식어서 굳을 때), 시스템의 총 에너지가 최소값이 되도록 원자들 사이에 상호 작용이 발생

-> 이는 원자들 간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고, 이를 '원자 결합'이라고 함

- 원자 결합은 주로 최외각전자(가전자)에 의해 발생하고, 상호 작용하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

  • 원자 결합의 종류

1) 이온 결합

- ex) NaCl, 금속 산화물 반도체 등

- 주로 1족과 7족 원자 집합에서 발생

- 원자들이 최외각 전자를 채워 안정화 하려할 때, 1족은 전자를 잃어 음이온, 7족은 전자를 얻어 양이온이 됨

-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인력(정전기력)에 의해 서로 둘러싼 구조의 결정 형성

2) 공유 결합

- ex) Si, Ge, GaAs 반도체, 유기물 분자 등

- 원자들이 서로 전자를 공유함으로써 가전자 outet rule을 만족하여 안정화

- 가장 강력한 결합력

- 4족 원소 반도체의 경우,  outet rule에 따라 4개의 공유 결합이 필요하고 1개의 원자를 4개의 원자가 둘러싼 형태로 결정 형성

3) 금속 결합

- ex) 전도성 금속

- 최외각 전자들이 모든 원자들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전자 구름을 형성

- 전자 구름과 양이온이 된 원자들 사이의 정전기력으로 결합 형성

4) 분자 결합

- ex) 물, HF, 저분자/고분자 집합 등

- 공유 결합 등으로 형성된 분자 내 양전하와 음전하의 유효 중심이 불일치하여 쌍극자 형성

- 쌍극자 간의 인력 (정전기력)에 의해 결합 형성

- 보통 가장 약한 결합력

 

<고체의 결함 (defect)>

  • 결정 결함의 정의

- 이상적인 주기성을 깨뜨리는 모든 것

- 격자점 원자의 불균일한 열진동에 의한 결함 (원초적인 결함)

  • 결정 결함의 종류

1) 점결함

- vacancy : 원자 하나가 격자점에서 이탈

- interstitial : 원자 하나가 격자점 이외의 자리에 위치

2) 선결함

정상적인 격자선에서 이탈

 

<고체의 불순물>

  • 결정 불순물의 정의

- 결정 원소 외에 다른 물질이 격자에 포함되는 것

- 결함의 일종

  • 도핑

- 특정 불순물을 첨가하여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유용하게 조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