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DRAM 제작의 재료>
- Wafer : Single Crystalline Si
- chip
- 웨이퍼 위 전자 회로가 새겨진 얇고 작은 조각으로, IC 칩이 되는 부분
- scribe lane
- chip 사이의 경계로, 아무 전자 회로가 없는 부분
- 웨이퍼를 개개의 칩으로 나누기 위한 분리 경계선
- flat zone
- 웨이퍼의 구조를 판별하기 위해 웨이퍼의 한 부분을 평평하게 만드는 것
(∵ 웨이퍼의 결정 구조는 눈으로 식별이 불가능하기 때문)
- shot
- shot 단위로 웨이퍼의 구획을 나눔
(∵ shot 단위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많음)
- 웨이퍼의 가장자리 shot에서 불량률이 높음
(∵ 이 부분에서 공정 중 stress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)

<DRAM chip의 구조>
[2D]

- 주변 회로(peripheral)
- 칩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회로를 통칭
- 칩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로와 세로 라인에 있는 회로
- 각종 제어 회로, 입출력 패드(I/O pad), 전원 생성 회로(Power), 주소(Address)를 제어하는 행/열 디코더(decorder)등
- peri의 "초록색 사각형" 부분은 chip에서 외부 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
- decorder
외부에서 주어진 주소를 변환하여 특정 cell 주소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회로
- 뱅크(bank)
- DRAM cell의 저장소들의 배열인 'cell array'와, 저장소의 직접적 제어 및 저장된 값을 읽는데 필요한 회로인 'core 회로(cell matrix)'로 구성
- 하나의 box는 1M(10^6개)의 cell로 배열
- 하나의 bank는 1G의 cell로 배열
- core 회로
1) WL(wordline)
Switch를 on/off하는 역할
2) SWD(Sub-Wordline Driver)
행 decorder에서 신호를 받아 해당 bank 내 cell array의 WL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WL을 선택, 해당 MOSFET이 on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
3) BL(Bit line)
data를 넣고 빼는 역할
4) BLSA(Bit line sense amplifier)
BL과 /BL 사이의 미세한 전압 차이를 감지하고, 논리 '1'과 논리 '0'으로 증폭시키는 역할
5) SH(Sub-Hole Control)
SWD와 BLSA가 교차하는 부분의 공간에 위치하며, S/A의 드라이버와 IO switch가 포함
[3D]


<반도체 소자의 종류>
1) PN junction
주로 전기적 절연에 사용

2) MOS-C(Capacitor)
전하의 저장

3) MOSFET(Transistor)
Source와 Drain 사이의 Current를 Gate를 통해 On/Off하는 switch 역할

=> gate의 Vt에 따라서 cap에 전하를 채워서 0,1 구분
'Semiconducto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AND FLASH (0) | 2024.07.03 |
---|---|
메모리 반도체 vs 시스템 반도체 (0) | 2024.05.01 |
반도체 용어 (0) | 2024.03.11 |
온디바이스 AI와 메모리 반도체 (0) | 2024.03.10 |
EUV (0) | 2024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