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반도체 공정

package 공정 (1)

  • 반도체 PKG 기술

- 능동 소자(반도체 칩)와 수동 소자(저항, 콘덴서 등)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

- 일반적으로 '1차 레벨 패키지'를 의미

- chip의 fine pitch I/O pad를 handling이 가능한 sub-mm scale의 pitch로 변환

(IC와 기타 구성 요소를 연결해주는 bridge 역할)

- 목적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packaging 존재

 

  •  기본 구조 (based on fBGA)

 

1) substrate (PCB기판)

2) tape or epoxy

chip을 substrate에 접착

3) gold wire

I/O pad와 substrate와 연결

4) solder ball

PKG와 PCB 기판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

5) EMC(Epoxy Molding Compound)

chip과 gold wire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(충격, 수분 등)

 

  • 기본 역할

1. 전기 신호 전달

input/output signal 연결

2. 전원 공급

외부의 power 공급

3. 기계적/화학적 보호

외부 위험 요소로부터 제품을 보호

4. 열방출

열 발산을 통한 제품 온도 제어

 

  • 필요성

연도에 따른 웨이퍼와 PCB기판의 최소 패턴 형성 능력치 변화

 

- 붉은색 선 : 반도체 패키지가 조립 과정 중에 실장될 PCB 기판의 최소 패턴을 만들 수 있는 능력치(Feature size)

초록색 선 : 웨이퍼에서 최소 패턴을 만들 수 있는 능력치

 

- 1970년대) PCB 기판과 웨이퍼의 최소 패턴을 만들 수 있는 능력치 차이가 크지 않았음

현재) 웨이퍼의 경우에 10nm 이하까지 양산, 개발하고 있는 단계이지만, PCB 기판은 100um대로 차이가 크게 벌어짐

(∵ PCB 기판은 판넬(panel)형태로 제작되고, 원가 절감의 이슈 등으로 최소 패턴을 만드는 능력치가 많이 작아지지 않았음. 하지만, 웨이퍼의 경우에는 포토 공정의 발달로 드라마틱하게 작아졌기 때문에 점점 차이가 벌어짐)

=> 문제) 반도체 패키지는 웨이퍼에서 잘린 칩을 단품화하여 PCB 기판에 실장하는 역할을 해야 하므로, PCB 기판과 웨이퍼의 차이를 보상해 주어야 함

-> 해결책) 반도체 PKG 기술 개발!

https://news.skhynix.co.kr/post/seominsuk-column-package-definition

 

[반도체 후공정 2편] 반도체 패키지의 정의와 역할 (2/11)

전자패키징 기술은 모든 전자제품의 하드웨어 구조물과 관련된 기술로서 매우 폭넓은 기술이다. 실리콘 웨이퍼에서 단일 칩을 잘라내고, 이를 단품화하여 모듈(module)을 만들고, 모듈을 카드 또

news.skhynix.co.kr

 

  • 과정

1. FAB

2. probe test

3. 'package'

4. PKG test

5. module

 

  • 업체 종류

1) 팹리스

반도체 설계 중심

(ex) 엔비디아, AMD, Apple)

2) 파운드리

웨이퍼 제작 중심

(ex) TSMC, SAMSUNG, Intel)

3) OSAT(Out Sourced Assembly and Test)

반도체와 웨이퍼를 패키징하고 테스트

(ex) ASE, JCET)

=> 분업화가 되어 반도체가 만들어짐

4) IDM(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)

종합 반도체 회사

(ex) 삼성전자, SK 하이닉스, Intel)

'반도체 공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lasma(2)  (0) 2024.09.29
plasma(1)  (0) 2024.08.26
Test (4)  (0) 2024.07.07
Test (3)  (0) 2024.07.06
Test (2)  (0) 2024.07.04